Piano Sonata No. 17 in D Major, D. 850 (Op. 53) "Gasteiner"
피아노 소나타 제17번 라장조. D. 850 (작품번호 53) "가스타이너"
1. 감상의 요점
2. 작곡가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 1797∼1828)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4남으로 태어났다. 11세에 콘빅트 국립학교에 입학하여 작곡을 공부하였고, 13세 때 궁정예배당의 소년 가수로, 학교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로 활약하는 등 연주회에도 자주 출연하였다. 그러나 15세 때 변성기에 이르러 소년 가수의 임무를 끝냈고, 17세 때 부친이 근무하는 초등학교의 임시교사가 되어 3년간 근무했다. 그 기간에 《마왕》·《들장미》를 포함한 146곡의 가곡과 실내악,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종교 음악, 희가극 등 많은 음악을 작곡하였다. 21세 때 헝가리 귀족 에스테르하지 백작의 음악가 겸 교사로 고용되었는데, 이 때의 작품으로는 《숭어 피아노 5중주곡》이 있다. 25세에 그라츠 음악협회의 명예회원으로 추대된 답례로서 《미완성 교향곡》을 쓰기 시작했고, 가곡집《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희곡《로자문데》 등도 이 시기에 작곡하였다. 28세가 되던 해는 그의 생애 중 가장 행복한 시기로 친구인 포글과 함께 각지를 여행하였는데, 《아베 마리아》가 작곡된 것도 이 때이다. 그로부터 사망하기 전까지 3년간 '들어라 종달새', 가곡집《겨울 나그네》, 《현악 4중주 라단조》 등을 작곡하였다. 그는 불과 31세란 짧은 생애 동안 교향곡, 미사곡, 오페라, 관현악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3대 연가곡집《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겨울 나그네》·《백조의 노래》등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3. 악곡 해설
이 곡은 슈베르트가 비교적 건강했던 1825년 여름에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 위치한 가스타인 온천에서 휴식하던 중에 작곡하였는데 알프스의 자연을 감상하며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밝고 장대한 후기 소나타로 이 곡은 슈베르트가 비교적 건강했던 1825년 여름에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 위치한 가스타인 온천에서 휴식하
던 중에 작곡하였는데 알프스의 자연을 감상하며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밝고 장대한 후기 소나타로 에너지가 넘치며 슈베르트 특유의 서정성과 명랑함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작품이다.
Ⅰ. Allegro vivace, D Major, 4/4 time, Sonata form
제1악장: 빠르고 생기있게, 라장조, 4/4 박자, 소나타형식
빠르고 생동감 있는 제1주제가 밝고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며 대비되는 감미롭고 노래하는 제2주제는 슈베르트 특유의 서정적인 선율로 조화를 이룬다.
제시부
|
제1주제
|
1-15
|
빠르고 생기있게
|
라장조
|
4/4
|
경과구
|
16-39
|
||||
제2주제
|
40-76
|
가장조
|
|||
48-54
|
조금 더 느리게
|
||||
55-76
|
빠르고 생기있게
|
||||
코데타
|
77-94
|
||||
발전부
|
제1부분
|
95-102
|
내림나장조
|
||
제2부분
|
103-108
|
||||
109-124
|
바장조
|
||||
118-124
|
내림가장조
|
||||
제3부분
|
125-131
|
나단조
|
|||
132-139
|
올림다단조
|
||||
140-142
|
내림마단조
|
||||
143-144
|
라장조
|
||||
145-146
|
마단조
|
||||
147-149
|
올림바단조
|
||||
150-151
|
사장조
|
||||
제4부분
|
152-162
|
라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
|
163-170
|
|||
경과구
|
171-190
|
||||
제2주제
|
191-198
|
||||
199--227
|
조금 더 느리게
|
||||
코데타
|
228-245
|
빠르고 생기있게
|
|||
코다
|
246-267
|
조금 더 느리게
|
제1주제

제2주제

Ⅱ. Con moto, A Major, 3/4 time, Sonata form
제2악장: 활기차게, 가장조, 3/4 박자, 소나타 형식
제2악장은 발전부가 없는 소나타 형식으로 2개의 주제는 각각 3부분 형식의 구조를 취한다. 따뜻하고 목가적인 분위기로 차분하면서도 지속적으로 흐르는 움직임이 있는 악장이다.
제시부
|
제1주제
|
a
|
1-12
|
활기차게
|
가장조
|
3/4
|
b
|
13-29
|
|||||
a'
|
29-41
|
|||||
제2주제
|
c
|
41-50
|
라장조
|
|||
d
|
50-67
|
다장조
|
||||
c'
|
67-85
|
라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
|
a
|
85-108
|
가장조
|
||
b
|
109-115
|
|||||
a'
|
115-133
|
|||||
제2주제
|
c
|
133-142
|
||||
d
|
142-153
|
|||||
c'
|
153-169
|
|||||
제1주제
|
a''
|
169-183
|
||||
코다
|
184-196
|
제1주제

제2주제

제2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8whWgQ4THN4
Ⅲ. Scherzo. Allegro vivace – Trio, 3/4 time, Scherzo form
제3악장: 스케르초. 빠르고 생기있게, 라장조, 3/4 박자, 스케르초 형식
활기찬 스케르초 악장으로, 춤곡적 요소가 강하며 빠르고 리드미컬한 움직임이 특징이며, 대비되는 트리오는 부드럽고 서정적이다.
스케르초 A
|
a
|
1-7
|
빠르고 생기있게
|
라장조
|
3/4
|
8-15
|
가장조
|
||||
16-25
|
올림바장조
|
||||
26-40
|
라장조
|
||||
b
|
41-77
|
내림나장조
|
|||
a'
|
77-95
|
라장조
|
|||
96-113
|
올림바장조
|
||||
114-118
|
라장조
|
||||
트리오 B
|
c
|
119-127
|
사장조
|
||
128-136
|
라장조
|
||||
d
|
137-141
|
다장조
|
|||
142-145
|
내림마장조
|
||||
146-153
|
내림사장조
|
||||
154-159
|
다장조
|
||||
c'
|
160-165
|
라장조
|
|||
166-180
|
사장조
|
||||
181-183
|
라장조
|
||||
184-191
|
가장조
|
||||
스케르초 A'
|
a
|
191-198
|
라장조
|
||
199-205
|
가장조
|
||||
206-210
|
올림바장조
|
||||
216-231
|
라장조
|
||||
b
|
231-267
|
내림나장조
|
|||
a'
|
267-275
|
라장조
|
|||
275-286
|
올림바장조
|
||||
287-331
|
라장조
|
스케르초 A

트리오 B

Ⅳ. Rondo. Allegro moderato, D Major, 4/4 time, Rondo form
제4악장: 론도. 적당히 빠르게, 라장조, 4/4 박자, 론도 형식
제4악장은 경쾌한 론도 형식으로 마치 알프스에서 즐겁게 산책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반복되는 주제가 명확하게 나타나면서 2개의 부주제가 점점 화려하게 발전한다.
주제 A
|
a
|
1-10
|
적당히 빠르게
|
라장조
|
4/4
|
b
|
10-29
|
||||
제1부주제 B
|
c
|
29-39
|
가장조
|
||
d
|
39-65
|
||||
c'
|
65-77
|
||||
주제 A'
|
a
|
78-88
|
라장조
|
||
b
|
89-103
|
||||
제2부주제 C
|
e
|
104-118
|
조금 더 느리게
|
사장조
|
|
f
|
118-143
|
||||
e'
|
143-171
|
||||
주제 A''
|
a
|
171-202
|
적당히 빠르게
|
라장조
|
|
b
|
203-212
|
조금 더 느리게
|
주제 A

제1부주제 B

제2부주제 C

전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D4dF8J3VYYk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음악전문 출판사 [예솔]에서 신간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저자 서경수|출간분야 음악|크기 152X225mm|...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