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Ludwig von Beethoven : 1770∼1827)은 1770년 독일에서 태어나 고전주의의 최후 작곡가로써 낭만주의의 선구자이며, 악성(樂聖)이라고 부른다. 그는 궁정 가수인 아버지로 인해 어려서부터 제2의 모짜르트를 만들기 위한 혹독한 음악교육을 받았으며 17세에 모짜르트로부터 음악 교육을 받기도 하였다. 베토벤이 더 많은 찬사를 받는 것은 불행한 현실과 음악가에겐 치명적인 귓병을 앓고 있으면서도 모든 것을 극복하고 명작들을 남겼다는 점이다. 그의 작품으로는 모두 9곡에 달하는 제5번《운명》, 제6번《전원》, 제9번《합창》 등의 교향곡과 피아노 소나타《월광》, 피아노 협주곡《황제》, 그리고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피아노곡《엘리제를 위하여》 등 다수의 명곡이 있다. 명곡이 있다.
악곡 해설
이 곡은 1802년부터 1803년 사이에 작곡되었으며 1804년 스위스 취리히의 한스 게오르그 네겔리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베토벤은 청각장애로 인한 비참한 심정을 담은 하일리겐슈타트 유서를 쓰고 그 시기를 극복하면서 작곡 스타일의 전환점이 되는 중기에 쓰여진 피아노 소나타 중에 유일하게 4악장으로 구성하였다.
‘사냥’이라는 곡명이 붙은 것은 제4악장의 주제가 마치 사냥 나팔소리를 연상케 하고 악장 전체에 흐르는 타란텔라 리듬이 마치 사냥꾼의 말발굽 소리를 연상케 하여 붙여졌다.
I. Allegro, E-flat Major, 3/4 meter, Sonata form
제1악장: 빠르게, 내림마장조. 3/4 박자, 소나타 형식
베토벤다운 중후함은 들을 수 없고 가볍다. 그러나 인상은 오랫동안 뇌리에 남는다.
제시부 | 제1주제의 제시 | 1-9 | 빠르게 | 내림마장조 | 3/4 |
제1주제의 확장 | 10-28 | ||||
경과구1 | 29-45 | 내림마장조-내림마단조-바단조-내림나장조 | |||
제2주제의 제시 | 45-53 | 내림나장조 | |||
경과구2 | 53-56 | ||||
제2주제의 확장 | 57-64 | ||||
코데타 | 64-88 | ||||
발전부 | 제1부분 | 89-108 | 내림마장조-다장조 | ||
제2부분 | 109-127 | 다장조-바장조-내림마장조 | |||
제3부분 | 127-136 | 내림마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의 재현 | 137-145 | |||
제1주제의 확장 | 146-164 | ||||
경과구1 | 165-169 | 내림마장조-내림마단조-바단조-내림나장조 | |||
제2주제의 재현 | 170-182 | 내림마장조 | |||
제2주제의 확장 | 183-190 | ||||
경과구2 | 190-219 | 내림마장조-내림가장조 | |||
코다 | 220-253 | 내림가장조-내림마장조 |
-제1주제의 제시

-제1주제의 확장
-경과구 1
-제2주제의 제시
-경과구 2
-제2주제의 확장
-코데타
발전부
-제1부분
-제2부분
-제3부분
재현부
-제1주제의 재현
-제1주제의 확장
-경과구 1
-제2주제의 재현
-제2주제의 확장
-경과구 2
-코다
제1악장 감상하기
II. SCHERZO, Allegretto vivace, A-flat Major, 2/4 meter, Sonata form
제2악장: 스케르초, 조금 빠르고 생기 있게, 내림가장조, 2/4 박자, 소나타 형식
스케르초는 소나타 형식이며 본래 3박자이지만 2박자를 사용한 것이 특이하다. 빠른 리듬은 스타카티시모로 연주되며, 따라서 박력이 있는 악장이다.
제시부 | 제1주제의 제시 | 1-9 | 매우 빠르게 | 내림가장조 | 2/4 |
경과구1 | 9-19 | 바단조 | |||
제1주제의 확장 | 19-28 | 내림가장조 | |||
경과구2 | 28-34 | 바단조 | |||
제2주제의 제시 | 34-50 | 바장조-내림나장조-내림마장조 | |||
코데타 | 50-63 | 내림가장조 | |||
발전부 | 제1부분 | 64-82 | 바장조-내림나단조-다단조 | ||
제2부분 | 83-105 | 다장조-바단조-내림가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의 재현 | 106-113 | 내림가장조 | ||
경과구1 | 113-124 | 바단조 | |||
제1주제의 확립 | 124-133 | 내림가장조 | |||
경과구2 | 133-139 | 바단조 | |||
제2주제의 재현 | 139-155 | 내림사장조-내림마장조-내림가장조 | |||
코다 | 155-171 | 내림가장조 |
제시부
-제1주제의 제시

-경과구 1
-제1주제의 확장
-경과구 2
-제2주제의 제시
-코데타
발전부
-제1부분
-제2부분
재현부
-제1주제의 재현
-경과구 1
-제1주제의 확립
-경과구 2
-제2주제의 재현
-코다
제2악장 감상하기
III. Moderato e grazioso, E-flat Major, 3/4 meter, Compound ternary form
제3악장: 보통 빠르기로 우아하게, 내림마장조, 3/4 박자, 복합 3부 형식
유유히 흐르는 선율 속에 우아함을 느낄 수 있다.
미뉴에트 A | a | 1-8 | 보통 빠르기로 우아하게 | 내림마장조 | 3/4 |
b | 8-16 | ||||
트리오 B | c | 17-24 | |||
d | 24-30 | ||||
c' | 30-38 | ||||
미뉴에트 A' | a | 38-46 | |||
b | 46-54 | ||||
코다 | 54-62 |
미뉴에트 A
https://youtu.be/3E59Mroob-w
-a
-b
트리오 B
-c
-d
-c'
미뉴에트 A'
-a
-b
-코다
제3악장 감상하기
Ⅳ. Presto con Puoco, E-flat Major, 6/8 meter, Sonata form
제4악장: 매우 빠르고 열정적으로, 내림마장조, 6/8 박자, 소나타 형식
봄 햇살과 같이 화사함을 노래하고 셋잇단음에 의한 젊음이 약동한다.
제시부 | 제1주제의 제시 | 1-28 | 매우 빠르고 열정적으로 | 내림마장조 | 6/8 |
연결구 | 28-33 | 내림마단조 | |||
제2주제의 제시 | 34-41 | 내림나장조 | |||
경과구1 | 42-63 | 내림나장조 | |||
코데타 | 64-70 | ||||
경과구2 | 70-82 | 내림사장조 | |||
발전부 | 제1부분 | 83-119 | 내림사장조-나단조-사장조-다단조-내림가장조-다장조 | ||
제2부분 | 119-143 | 다장조-바단조-내림나단조-내림마단조 | |||
제3부분 | 144-171 | 내림가장조-바단조-내림나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의 재현 | 171-199 | 내림마장조 | ||
연결구 | 199-212 | 내림마단조-내림사장조 | |||
제2주제의 재현 | 213-238 | 내림다장조 | |||
경과구 | 239-262 | 내림사장조 | |||
코다 | 제1부분 | 263-278 | |||
제2부분 | 279-302 | 내림마장조-바단조-내림가장조 | |||
제3부분 | 303-333 | 내림가장조-내림마장조 |
제시부
-제1주제의 제시
-연결구
-제2주제의 제시
-경과구 1
-코데타
-경과구 2
발전부
-제1부분
-제2부분
-제3부분
재현부
-제1주제의 재현
-연결구
-제2주제의 재현
-경과구
코다
-제1부분
-제2부분
-제3부분
제4악장 감상하기
전악장 감상하기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음악전문 출판사 [예솔]에서 신간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저자 서경수|출간분야 음악|크기 152X225mm|...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