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er: Piano Sonata No. 4 in E Minor, Op. 70
베버: 피아노 소나타 제4번 마단조, 작품 번호 70
1. 감상 요점
2. 작곡가

베버(Weber. C.M : 1786~1826)는 19세기 독일의 낭만파 음악의 새로운 세계의 문을 연 국민 오페라를 수립한 선구자이다. 그의 아버지는 성격이 별로 침착하지 못했던 관계로 직업도 자주 바꾸어서 군인인가 하면 관리이기도 했다. 또 극단을 조직하여 지휘자로서 지방을 순회하기도 했다.
베버가 후에 연극 방면에 능통했던 것도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와 함께 극단을 쫓아 다녔기 때문이다. 베버는 12세때 찰츠부르크 교회의 합창 단원으로 음악 생활을 시작했다. 13 세 때에는 이미 오페라를 쓸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그의 이러한 재질은 해를 거듭할수록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오페라《마탄의 사수》를 발표하였을 때는 세계적인 오페라 작곡가로서 이름을 떨쳤다.
그는 오페라 작곡가로서만이 아니라 오페라 지휘자로서도 유명한데, 프라하 극장의 지휘자를 비롯하여 1317년 이후에는 드레스덴 궁정 가극장의 지휘자로 평생 활약했다. 그가 음악에 크게 공헌한 것은 극음악에 있다. 극적이며 서사적인 표현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다. 그는 2개의 교향곡을 남겼으나 그보다는 교향시 방면을 새로이 개척하여 새싹을 트게 하였으며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가 택한 멜로디는 모차르트의 흐름을 따랐는데, 부드럽고 아름다운 선율에 풍부한 영감적인 기백이 있다. 품위 있고 깨끗한 멜로디에는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고 대담한 화성의 사용이 그것을 뒷받침해 준다. 악기의 사용에 있어서도 종래에 볼 수 없었던 수법을 사용했다. 모든 악기의 음역을 최대한으로 구사하였고, 각 악기의 음색의 특징을 이용하여 특징 있는 동기를 삽입하는 등 악기의 사용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원을 마련했다.
그의 작품은 오페라《마탄의 사수》 외에도 오페라《오이리안테》, 오페라《오베론》 그 밖에 피아노곡《무도에의 권유》등 많은 기악곡과 가곡이 있다.
3. 악곡 해설
이 소나타는 베버가 낭만주의 초기 피아노 음악에 남긴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전통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독창적이고 극적인 표현을 강조한다.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악장은 개성 있고 다채로운 음악적 특성을 지닌다.
I. E Minor, 4/4 time, Moderato, Sonata form
제1악장: 보통 빠르기로, 마단조, 4/4 박자, 소나타 형식
제1악장은 전통적 소나타 형식이며, 베버 특유의 모티브 발전 기법과 낭만적 표현이 조화를 이루는 장중한 악장이다.
먼저 제1주제는 단조의 비장함 속에서 단호한 동기와 극적인 선율로 제시된다. 이어지는경과구에서는 다양한 조성으로 이행하면서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제2주제는 제1주제와 대비되는 서정적이고 부드러운 성격으로 나란한조인 사장조에서 등장하며, 여운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전개부에서는 이 두 주제가 분절되고 변형되어 화성적, 모티브적 발전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재현부에서는 제1주제가 다시 마단조로 돌아오고, 제2주제가 동일 조성에서 재현되며, 코다에서 긴장감과 통일감을 유지한 채 목적지점으로 마무리된다.
제시부 | 제1주제 | 1-20 | 보통 빠르기로 | 마단조 | 4/4 |
경과구 | 21-38 | 내림라단조-사장조 | |||
제2주제 | 39-60 | 사장조 | |||
경과구 | 60-67 | ||||
코데타 | 68-74 | 내림라단조 | |||
발전부 | 제1부분 | 75-96 | 니단조-올림다단조 | ||
제2부분 | 96-119 | 마장조 | |||
제3부분 | 120-134 | 마단조 | |||
재현부 | 제1주제 | 134-145 | |||
제2주제 | 146-153 | 사장조 | |||
경과구 | 153-172 | 생기있게 | |||
종결주제 | 173-174 | 마단조 | |||
175-185 | 마장조 | ||||
코다 | 186-195 | 마단조 |
제1주제
제2주제
제1악장 감상하기
II. E Major, 3/4 time, Presto vivace ed energico, Ternary form
제2악장 미뉴에트, 매우 빠르고 활기차며 에너지 넘치게, 마장조, 3/4 박자, 3부 형식
제2악장은 빠르고 생기 넘치는 3부 형식의 미뉴에트로, 활기차고 리듬감 있는 주제부와 부드럽고 선율적인 트리오가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고전적 형식 안에 낭만적 색채와 유머를 담고 있다. 선명한 악센트와 날렵한 패시지가 특징이며, 전체적으로는 간결하면서도 기교적 표현이 요구되는 경쾌한 악장이다.
미뉴에트 A | 1-100 | 매우 빠르고 활기차며 에너지 넘치게 | 마단조 | 3/4 |
트리오 B | 101-188 | 마장조 | ||
미뉴에트 A' | 189-286 | 마단조 |
미뉴에트 A
트리오 B
미뉴에트 A'
제2악장 감상하기
III. C Major, 2/4 time, Andante, quasi Allegretto con solante, Rondo form
제3악장: 느리게, 조금 빠르게 그리고 가볍고 장중하게, 다장조, 2/4 박자, 론도 형식
제3악장은 느리지만 흐르듯 전개되는 Andante풍의 론도 형식으로, "quasi Allegretto con solenne"라는 지시어처럼 절제된 움직임 속에 장중하고 위엄 있는 분위기를 지닌다. 반복되는 주제와 그 사이에 놓인 삽입부들이 서정성과 고요한 감정을 교차시키며, 전체적으로는 차분하면서도 고결한 성격이 강조된 악장이다.
주제 A | 1-24 | 느리게, 조금 빠르게 그리고 가볍고 장중하게 | 다장조 | 2/4 |
제1부주제 B | 24-50 | |||
주제 A' | 50-69 | |||
제2부주제 C | 69-105 | 바장조 | ||
주제 A'' | 105-138 | 다장조 |
주제 A
제1부주제 B
제2부주제 C
제3악장 감상하기
IV. E Minor, 2/4 time, Prestissimo, Variation Form
제4악장: 매우 빠르게, 마단조, 2/4 박자, 변주곡 형식
이 악장은 빠른 2/4 박자와 격렬한 리듬 속에서 전개되는 변주곡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겉보기에 반복되는 주제와 삽입구들로 인해 론도 형식처럼 느껴질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자유로운 변주 형식을 따른다.
악장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 복합 주제부(1–105마디)로 시작된다. 제1부분(1–45마디)은 날카롭고 빠른 리듬이 지배하는 마단조의 주요 주제를 제시하며, 제2부분(45–67마디)은 다장조로 전조되어 밝고 부드러운 성격을 띤다. 이어지는 제3부분(67–105마디)은 나장조로 진행되며, 보다 유려하고 선율적인 흐름을 보여준다. 이 세 부분은 이후 변주의 핵심 동기와 구조적 토대를 형성한다.
주제 | 제1부분 | 1-45 | 매우 빠르게 | 마단조 | 2/4 |
제2부분 | 45-67 | 다장조 | |||
제3부분 | 67-105 | 나장조 | |||
제1변주 | 98-193 | 다장조-마단조 | |||
제2변주 | 194-271 | 마단조 | |||
제3변주 | 272-352 | 마장조-마단조 | |||
코다 | 353-383 | 마단조 |
주제
제1변주
제2변주
제3변주
제4악장 감상하기
전악장 감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