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음악사에 있어서 음악의 신동이라고 불리는 작곡가로, 이미 3세 때부터 음악에 놀라운 재능을 보여 신동이라는 찬사를 받았으며, 5세 때는 작곡을 시작하고, 6세 때는 피아니스트로 아버지와 함께 유럽 각지로 음악 연주를 다녔다. 특히 10세 때 오라트리오, 11세 때 오페라를 쓰고, 음악회에서 직접 지휘도 했으며, 27세가 되던 해부터 활발한 음악 활동을 하였다. 모차르트는 3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교향곡, 각종 협주곡, 피아노곡, 가곡, 실내악곡, 오페라 등 거의 모든 형식에서 600여 곡의 명작을 남김으로써 고전파 음악의 진수를 보여 주었다. 그의 작품은 천재적인 자연스러움과 천진함, 그리고 맑고 단정함을 지니고 있으며, 가난과 배고픔을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승화시킨 고귀한 기품을 지니고 있다. 오페라 《돈조반니》,《 마술 피리》,《피가로의 결혼》, 교향곡 《주피터》, 현악 합주, 피아노 소나타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악곡 해설
어머니의 사망과 현실의 여러 가지 충격에 직면하면서 심리적으로 힘들 시기인 1778년에 작곡한 이 곡은 모차르트 인생의 슬럼프이자 운명의 전환기였다. 그러나 베를린 국립도서관에 소장된 모차르트의 자필 악보를 연구한 결과, 악보에 사용된 오선보는 오스트리아 북부의 린츠 인근 지역에서 작곡했고, 1784년 8월에 빈 트리첼라 출판사가 인쇄한 것에 근거해 모차르트가 린츠에 잠시 머물렀던 1783년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I. Allegro moderato, B-flat Major, 4/4 meter, Sonata form
제1악장: 적당히 빠르게, 내림나장조, 4/4 박자, 소나타 형식
활기차고 경쾌한 제1악장은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중에서도 특히 매력적인 곡으로 특유의 경쾌한 스타일이 잘 나타낸다.
제시부
|
제1주제
|
1-10
|
적당히 빠르게
|
내림나장조
|
4/4
|
경과구
|
10-23
|
내림나장조-바장조
|
|||
제2주제의 제시
|
23-38
|
바장조
|
|||
제2주제의 확보
|
39-50
|
||||
종결주제
|
50-59
|
||||
코데타
|
59-63
|
||||
발전부
|
제1부분
|
64-72
|
바장조-바단조
|
||
제2부분
|
72-86
|
바단조-내림나장조
|
|||
경과구
|
86-94
|
사단조-내림나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
|
94-104
|
내림나장조
|
||
경과구
|
104-119
|
||||
제2주제의 재현
|
120-135
|
||||
제2주제의 확보
|
136-154
|
||||
종결주제
|
154-164
|
||||
코다
|
164-165
|

-경과구
-코데타
발전부
-제1부분
-제2부분
-경과구
제현부
-제1주제
-경과구
-제2주제의 재현
-제2주제의 확보
-종결주제
-코다
제1악장 감상하기
II. Andante cantabile, E-flat Major, 3/4 meter, Sonata form
제2악장: 느리게 노래하듯이, 내림마장조, 3/4 박자, 소나타 형식
느리고 서정적인 제2악장은 조용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모차르트의 음악적 섬세함과 감정 표현의 깊이를 잘 보여준다.
제시부
|
제1주제
|
1-8
|
느리게 노래하듯이
|
내림마장조
|
3/4
|
경과구
|
8-13
|
||||
제2주제
|
14-21
|
내림나장조
|
|||
종결주제
|
21-29
|
||||
코데타
|
29-31
|
||||
발전부
|
제1부분
|
32-35
|
바단조
|
||
제2부분
|
36-43
|
||||
제3부분
|
43-48
|
내림가장조-바단조
|
|||
제4부분
|
48-50
|
내림가장조-내림마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
|
51-58
|
내림마장조
|
||
경과구
|
58-63
|
||||
제2주제
|
64-71
|
||||
종결주제
|
71-79
|
||||
코다
|
79-82
|
-제1주제
-경과구
-제2주제
-종결주제
-코데타
발전부
-제1부분
-제2부분
-제3부분
-제4부분
제현부
-제1주제
-경과구
-제2주제
-종결주제
-코다
제2악장 감상하기
III. Allegretto grazioso, B-flat Major, 4/4 meter, Rondo Sonata form
제3악장: 조금 빠르고 우아하게, 내림나장조, 4/4 박자, 론도 소나타 형식
밝고 경쾌하며 우아한 제3악장은 우아함과 경쾌한 주제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각 부분의 대비를 명확히 드러낸다.
주제 A
|
1-16
|
조금 빠르게
|
내림나장조
|
4/4
|
|
주제 A – 경과구
|
16-24
|
내림나장조-바장조
|
|||
제1부주제 B
|
24-36
|
바장조
|
|||
제1부주제 B – 경과구
|
36-40
|
바장조-내림나장조
|
|||
주제 A'
|
41-56
|
내림나장조
|
|||
주제 A' – 경과구
|
56-64
|
내림나장조-사단조
|
|||
제2부주제 C
|
제1부분
|
64-76
|
사단조-내림마장조
|
||
제2부분
|
76-91
|
내림마장조
|
|||
제3부분
|
91-106
|
사단조-내림마장조
|
|||
제2부주제 C – 경과구
|
107-111
|
내림나장조
|
|||
주제 A''
|
112-127
|
||||
주제 A'' – 경과구
|
127-148
|
||||
제1부주제 B'
|
148-164
|
||||
제1부주제 B' – 경과구
|
164-171
|
||||
카덴차
|
171-198
|
내림나장조-내림나단조
|
|||
주제 A'''
|
199-213
|
내림나단조-내림나장조
|
|||
코다
|
213-224
|
나장조
|
주제 A

주제 A – 경과구|
제1부주제 B
제1부주제 B – 경과구
주제 A'
주제 A' – 경과구
제2부주제 C
- 제1부분
- 제2부분
- 제3부분
제2부주제 C – 경과구
주제 A''
주제 A'' – 경과구
제1부주제 B'
제1부주제 B' – 경과구
카덴차
주제 A'''
코다
제3악장 감상하기
전악장 감상하기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2
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유튜브로 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저자 서경수는 중등음악교육의 베테랑 수석교사로, 효과적이고 수월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 30여 년간 노
www.yesolpres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