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Mozart, Wolfgang Amadeus : 1756∼1791)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음악사에 있어서 음악의 신동이라고 불리는 작곡가로, 이미 3세 때부터 음악에 놀라운 재능을 보여 신동이라는 찬사를 받았으며, 5세 때는 작곡을 시작하고, 6세 때는 피아니스트로 아버지와 함께 유럽 각지로 음악 연주를 다녔다. 특히 10세 때 오라트리오, 11세 때 오페라를 쓰고, 음악회에서 직접 지휘도 했으며, 27세가 되던 해부터 활발한 음악 활동을 하였다. 모차르트는 3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교향곡, 각종 협주곡, 피아노곡, 가곡, 실내악곡, 오페라 등 거의 모든 형식에서 600여 곡의 명작을 남김으로써 고전파 음악의 진수를 보여 주었다. 그의 작품은 천재적인 자연스러움과 천진함, 그리고 맑고 단정함을 지니고 있으며, 가난과 배고픔을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승화시킨 고귀한 기품을 지니고 있다. 오페라 《돈조반니》,《 마술 피리》,《피가로의 결혼》, 교향곡 《주피터》, 현악 합주, 피아노 소나타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악곡 해설
이 곡은 모차르트가 콘스탄체 베버(Constanze Weber, 1762-1842)와 결혼하여 빈에 거주할 때 1783년에 작곡하였다. 빈에서의 생활에서 많은 영감을 받아 창작력이 절정에 달하여 이 곡을 포함한 여러 걸작을 남기는 제2기(청년기)의 작품으로 모차르트의 성숙한 작곡 기법이 잘 드러나 있으며, 그의 다른 피아노 소나타들처럼 깊이 있는 음악적 표현과 기술적 정교함이 특징이다.
Ⅰ. Allegro moderato, C Major, 2/4 meter, Sonata form
제1악장: 적당히 빠르게, 다장조, 2/4 박자, 소나타 형식
제1악장은 알레그로보다는 조금 느린 밝고 경쾌한 소나타 형식이며, 우아한 선율과 조화로운 화성 진행이 특징이다.
제시부
|
제1주제의 제시
|
1-4
|
적당히 빠르게
|
다장조
|
2/4
|
제1주제의 확보
|
5-11
|
||||
경과구 1
|
12-18
|
||||
제2주제의 제시
|
19-26
|
사장조
|
|||
제2주제의 확보
|
27-34
|
||||
경과구 2
|
34-42
|
||||
종결주제
|
42-54
|
||||
코데타
|
54-58
|
||||
발전부
|
제1부분
|
59-68
|
사장조
|
||
제2부분
|
68-78
|
가단조-바장조-가장조-다단조-바단조
|
|||
제3부분
|
78-87
|
사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의 재현
|
88-100
|
다장조
|
||
제1주제의 확보
|
101-106
|
||||
제2주제의 재현
|
107-122
|
||||
제2주제의 확보
|
122-130
|
||||
종결주제
|
130-141
|
||||
코다
|
142-151
|
1. 제시부(exposition)
제1주제(1st theme) - 으뜸조(곡을 시작하는 중심조)로 리드미컬하게 제시되어, 곡 전체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제1주제의 제시


제2주제(2nd theme)
제1주제의 딸림음조(으뜸음조의 완전5도 위의 조)로 제시되며, 제1주제와 비교·대림되는 성격으로 주로 부드러운 멜로디를 가진다.
-제2주제의 제시

-제2주제의 확보
-경과구 2
-종결주제(Codetta)
제시부를 일단 정리하여 발전부가 준비를 갖추어 주는 부분이다.
-코데타
2. 발전부(development)
세도막 형식의 가운데 부분으로, 이미 제시된 제1주제와 제2주제를 동기적으로 발전시키면서 작곡가의 기량을 발휘하고, 조바꿈이 활발하게 나오는 부분이다.
https://youtu.be/Cw3afetvMsg
-제1부분

-제2부분
https://youtu.be/uxMGr8ih7wo
-제3부분
https://youtu.be/uzOguoR72T4
3. 재현부(ricapituration)
제시부와 같은 구성으로 제1주제와 제2주제사 다시 나타나는 부분으로, 제시부와 다른 점이 있다.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모두 으뜸조로 제시되는 것이다.
https://youtu.be/LhoYUfRftoc
-제1주제의 재현
https://youtu.be/o0kFVmqZFiU
-제1주제의 확보
-제2주제의 재현
https://youtu.be/PMTrpZ0ZwuQ
-제2주제의 확보
https://youtu.be/Ct3BMB1NSyI
종결구(coda)
-종결주제
https://youtu.be/E1oT_sghglE
-코다
곡 전체를 끝맺는 부분이다.
https://youtu.be/gt3VH5LzoqI
제1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zQ7yzZouhJk
https://youtu.be/yQ5OLkatGdg
Ⅱ. Andante cantabile, F Major, 3/4 meter, Ternary form
제2악장: 느리게 노래하듯이, 바장조, 3/4 박자, 3부분 형식
느리게 노래하듯이 부드러운 선율을 지닌 제2악장은 섬세한 감정 표현이 돋보인다.
미뉴에트 A
|
a
|
1-9
|
느리게 노래하듯이
|
바장조-다장조
|
3/4
|
b
|
9-21
|
사단조-다장조-바장조-내림나장조-다장조
|
|||
트리오 B
|
c
|
21-29
|
바단조
|
||
d
|
29-37
|
||||
c'
|
37-41
|
||||
미뉴에트 A'
|
a
|
41-61
|
바장조
|
||
코다
|
61-65
|
미뉴에트 A
-a

-b
https://youtu.be/WkCHfS0H0tk
트리오 B
https://youtu.be/GpAm6Fghw2M
-c
https://youtu.be/76P_TvYQSwg
-d
https://youtu.be/xy5uXF2jZHk
-c'
https://youtu.be/iMfQTV39MDI
미뉴에트 A'
https://youtu.be/VVXLlkG9Nq4
-a
https://youtu.be/SRtim8FROeo
-코다
https://youtu.be/1dgX2cxmH3I
제2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FMkYEwkMu0o
Ⅲ. Allegretto, C Major, 2/4 meter, Sonata form
제3악장: 조금 빠르게, 다장조, 2/4 박자, 소나타 형식
제3악장은 빠르고 활기찬 성격의 소나타 형식으로, 다채로운 주제와 경쾌한 리듬이 어우러져 있다.
제시부
|
제1주제
|
1-20
|
조금 빠르게
|
다장조
|
2/4
|
전환구 1
|
21-32
|
||||
제2주제
|
33-50
|
사장조
|
|||
전환구 2
|
51-61
|
||||
코데타
|
61-68
|
||||
발전부
|
제1부분
|
70-77
|
|||
제2부분
|
78-91
|
||||
코데타
|
91-96
|
||||
재현부
|
제1주제
|
97-117
|
다장조
|
||
전환구 1
|
118-133
|
다장조-바장조-가장조-라장조-사장조-다장조
|
|||
제2주제
|
134-151
|
다장조
|
|||
전환구 2
|
152-162
|
||||
코다
|
162-173
|

-전환구 1
-제2주제
-전환구 2
-코데타
발전부
https://youtu.be/xia_WX_NUUk
-제1부분
https://youtu.be/YZb76Pgkqbk
-제2부분
https://youtu.be/zvQe6BuMfUM
-코데타
https://youtu.be/LSUrCpSadfY
재현부
-제1주제
-전환구 1
-제2주제
-전환구 2
-코다
제3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JWXTwfHxIZE
전악장 감상하기
https://youtu.be/J4gPe861k8A
'모차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18곡) 공유 (0) | 2025.04.03 |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18곡) 공유 (0) | 2025.03.28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7번 다장조, 쾨헬 번호 309 Mozart Piano Sonata No. 7 in C Major K. 309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14) | 2024.11.08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18곡) (4) | 2024.10.05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9번 라장조, 쾨헬 번호 311 Mozart Piano Sonata No. 9 in D Major K. 311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3)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