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no Sonata No. 21 in B-flat Major, D. 960 피아노 소나타 제21번 내림나장조, D. 960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Piano Sonata No. 21 in B-flat Major, D. 960
피아노 소나타 제21번 내림나장조, D. 960
1. 감상의 요점
2. 작곡가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 1797∼1828)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4남으로 태어났다. 11세에 콘빅트 국립학교에 입학하여 작곡을 공부하였고, 13세 때 궁정예배당의 소년 가수로, 학교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로 활약하는 등 연주회에도 자주 출연하였다. 그러나 15세 때 변성기에 이르러 소년 가수의 임무를 끝냈고, 17세 때 부친이 근무하는 초등학교의 임시교사가 되어 3년간 근무했다. 그 기간에 《마왕》·《들장미》를 포함한 146곡의 가곡과 실내악,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종교 음악, 희가극 등 많은 음악을 작곡하였다. 21세 때 헝가리 귀족 에스테르하지 백작의 음악가 겸 교사로 고용되었는데, 이 때의 작품으로는 《숭어 피아노 5중주곡》이 있다. 25세에 그라츠 음악협회의 명예회원으로 추대된 답례로서 《미완성 교향곡》을 쓰기 시작했고, 가곡집《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희곡《로자문데》 등도 이 시기에 작곡하였다. 28세가 되던 해는 그의 생애 중 가장 행복한 시기로 친구인 포글과 함께 각지를 여행하였는데, 《아베 마리아》가 작곡된 것도 이 때이다. 그로부터 사망하기 전까지 3년간 '들어라 종달새', 가곡집《겨울 나그네》, 《현악 4중주 라단조》 등을 작곡하였다. 그는 불과 31세란 짧은 생애 동안 교향곡, 미사곡, 오페라, 관현악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3대 연가곡집《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겨울 나그네》·《백조의 노래》등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3. 악곡 해설
이 곡은 슈베르트의 마지막 피아노 소나타로, 그가 세상을 떠나기 약 2개월 전인 1828년 9월에 작곡하여 후원자였던 요한 네포무크 후멜의 아들 로버트 후멜에게 헌정하였고, 사후 1839년에 출판되었다.
명상적이고 장엄한 분위기를 지니며, 죽음을 앞둔 슈베르트 자신의 깊은 성찰이 담겨 있고, 단순히 아름다움을 넘어, 삶과 죽음, 희망과 절망을 넘나드는 깊은 감정을 표현한다.
I. Molto moderato, B-flat Major, 4/4 time, Sonata form
제1악장: 매우 적당하게, 내림나장조, 4/4 박자, 소나타 형식
제1악장은 부드럽고 목가적인 제1주제로 시작하며, 다장조의 맑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저음에서 등장하는 미묘한 트릴이 작품 전반에 걸쳐 긴장감과 신비로운 느낌을 더한다.
전체적으로 서정적이면서도 초월적인 감정을 담고 있으며, 삶과 죽음의 경계에 있는 듯한 분위기를 풍긴다.
제시부
|
제1주제의 원형과 확장
|
1-17
|
매우 적당하게
|
내림나장조
|
4/4
|
연결구 1
|
18-19
|
내림사장조
|
|||
제1주제의 변형과 확장
|
19-32
|
||||
연결구 2
|
32-35
|
내림나장조
|
|||
제1주제의 재현과 변형
|
36-44
|
||||
경과구
|
45-47
|
||||
제2주제
|
48-69
|
올림바단조
|
|||
70-79
|
사단조
|
||||
80-101
|
바장조
|
||||
코데타
|
102-115
|
||||
116
|
내림나장조
|
||||
발전부
|
제1부분
|
117-131
|
올림다단조
|
||
제2부분
|
131-136
|
가장조
|
|||
137-139
|
올림사단조
|
||||
140-145
|
나장조
|
||||
146-148
|
내림나단조
|
||||
149-157
|
내림라장조
|
||||
제3부분
|
168-172
|
마장조
|
|||
173-187
|
라단조
|
||||
제4부분
|
187-202
|
||||
203-214
|
바단조
|
||||
재현부
|
제1주제의 원형과 확장
|
215-245
|
내림나장조
|
||
연결구 1
|
246-247
|
내림사장조
|
|||
제1주제의 변형과 확장
|
248-251
|
올림바단조
|
|||
연결구 2
|
252-254
|
가장조
|
|||
제1주제의 재현과 확장
|
255-262
|
내림나장조
|
|||
경과구
|
263-266
|
||||
제2주제
|
267-288
|
나단조
|
|||
289-298
|
사단조
|
||||
299-326
|
내림나장조
|
||||
코데타
|
327-345
|
||||
코다
|
345-357
|
제1주제

제2주제

II. Andante sostenuto, C-sharp minor, 3/4 time, Ternary form
제2악장: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부드럽게, 올림다단조, 3/4 박자, 3부 형식
제2악장은 고요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띠며, 죽음과 같은 심오한 주제를 암시한다.
주요 주제는 단순하면서도 비극적인 정서를 담고 있으며, 반복되는 주제와 변화를 통해 슈베르트 특유의 감정적 심화를 보여준다.
A 부분
|
a
|
1-13
|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부드럽게
|
올림다단조
|
3/4
|
14-17
|
마장조
|
||||
a'
|
18-33
|
||||
34-42
|
올림다단조
|
||||
B 부분
|
b
|
43-67
|
가장조
|
||
b'
|
68-71
|
||||
72-73
|
다장조
|
||||
74-86
|
가장조
|
||||
87-89
|
올림다단조
|
||||
A' 부분
|
a''
|
90-102
|
|||
103-111
|
다장조
|
||||
a'''
|
112-120
|
나단조
|
|||
121-122
|
올림다단조
|
||||
코다
|
123-138
|
올림다장조
|
A 부분

B 부분

III. Scherzo: Allegro vivace con delicatezza, B-flat Major, 3/4 time, Scherzo form
제3악장: 스케르초. 매우 빠르고 섬세하게, 내림나장조, 3/4 박자, 스케르초 형식
밝고 가벼운 움직임이 특징으로 앞의 제2악장의 비극적 정서를 잠시 잊게 하는데 트리오는 고요하고 대조적인 정서가 나타나며 스케르초의 활발함과 대비된다.
스케르초 A
|
a
|
1-16
|
매우 빠르고 섬세하게
|
내림나장조
|
3/4
|
b
|
17-20
|
내림마장조
|
|||
21-49
|
내림라장조
|
||||
50-55
|
올림바장조
|
||||
56-68
|
가장조
|
||||
a'
|
69-91
|
내림나장조
|
|||
트리오 B
|
c
|
91-100
|
내림나단조
|
||
d
|
101-112
|
내림사장조
|
|||
c'
|
113-118
|
내림나단조
|
|||
스케르초 A'
|
처음으로부터
|
||||
코다
|
119-122
|
|
내림나장조
|
스케르초 A

트리오 B

IV. Allegro ma non troppo, B-flat Major, 2/4 time, Sonata form(Rondo form)
제4악장: 빠르지만 너무 빠르지 않게, 내림나장조, 2/4 박자, 소나타 형식(론도 형식)
생동감 있고 강렬한 피날레로 삶에 대한 열정과 초월의 감정을 동시에 나타낸다.
주요 주제는 강렬한 에너지와 긴장감을 가지며 다장조의 승리감 속에서 곡을 마무리한다.
소나타 형식
|
론도 형식
|
마디
|
빠르기
|
조성
|
박자
|
|
제시부
|
제1주제
|
주제 A
|
1-32
|
빠르지만 너무 빠르지 않게
|
내림나장조
|
2/4
|
경과구
|
32-85
|
다장조
|
||||
제2주제
|
제1부주제 B
|
86-155
|
바장조
|
|||
156-224
|
바단조
|
|||||
발전부
|
제1부분
|
주제 A'
|
225-255
|
내림나장조
|
||
제2부분
|
제2부주제 C
|
255-313
|
사단조
|
|||
재현부
|
제1주제
|
주제 A''
|
313-359
|
다장조
|
||
제2주제
|
제1부주제 B'
|
360-429
|
내림나장조
|
|||
430-491
|
내림나단조
|
|||||
코데타
|
주제 A'''
|
491-511
|
다장조
|
|||
코다
|
코다
|
512-538
|
매우 빠르게
|
내림나장조
|
제1주제

제2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