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no Sonata No. 15 in C Major, D. 840, "Reliquie“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다장조, D. 840 “유품”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Piano Sonata No. 15 in C Major, D. 840, "Reliquie“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다장조, D. 840 “유품”
1. 감상의 요점
2. 작곡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 1797∼1828)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4남으로 태어났다. 11세에 콘빅트 국립학교에 입학하여 작곡을 공부하였고, 13세 때 궁정예배당의 소년 가수로, 학교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로 활약하는 등 연주회에도 자주 출연하였다. 그러나 15세 때 변성기에 이르러 소년 가수의 임무를 끝냈고, 17세 때 부친이 근무하는 초등학교의 임시교사가 되어 3년간 근무했다. 그 기간에 《마왕》·《들장미》를 포함한 146곡의 가곡과 실내악,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종교 음악, 희가극 등 많은 음악을 작곡하였다. 21세 때 헝가리 귀족 에스테르하지 백작의 음악가 겸 교사로 고용되었는데, 이 때의 작품으로는 《숭어 피아노 5중주곡》이 있다. 25세에 그라츠 음악협회의 명예회원으로 추대된 답례로서 《미완성 교향곡》을 쓰기 시작했고, 가곡집《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희곡《로자문데》 등도 이 시기에 작곡하였다. 28세가 되던 해는 그의 생애 중 가장 행복한 시기로 친구인 포글과 함께 각지를 여행하였는데, 《아베 마리아》가 작곡된 것도 이 때이다. 그로부터 사망하기 전까지 3년간 '들어라 종달새', 가곡집《겨울 나그네》, 《현악 4중주 라단조》 등을 작곡하였다. 그는 불과 31세란 짧은 생애 동안 교향곡, 미사곡, 오페라, 관현악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3대 연가곡집《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겨울 나그네》·《백조의 노래》등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3. 악곡 해설
별칭이 “유품”인 이 곡은 슈베르트의 미완성된 걸작 중 하나이다. 1825년에 작곡되었지만 4개 악장 중에 제1, 2악장만 완성하고 제3, 4악장은 초고 상태로 남겼다.
완성하지 못한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당시 다른 작곡 작업이나 건강 문제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1861년에 초판이 간행될 때 출판사에서 최후의 작품이라는 뜻으로 “유품”이라고 별칭을 붙였지만, 마지막 작품은 아니며 마지막 소나타 중 하나라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Ⅰ. Moderato, C Major, 4/4 time, Sonata Form
제1악장: 보통 빠르기로, 다장조, 4/4 박자, 소나타 형식
극적인 조성 변화와 깊은 감정이 담긴 제1악장은 장엄하면서도 서정적이며 슈베르트 특유의 아름다운 멜로디와 화성 진행이 돋보인다.
제시부
|
제1주제
|
1-20
|
보통 빠르기로
|
다장조
|
4/4
|
경과구 1
|
21-27
|
||||
제1주제의 확대
|
27-35
|
||||
연결구
|
35-54
|
내림가장조
|
|||
제2주제
|
54-70
|
나단조
|
|||
경과구 2
|
71-86
|
다단조
|
|||
제2주제의 확대
|
86-95
|
사장조
|
|||
코데타
|
96-104
|
||||
발전부
|
제1부분
|
104-119
|
가장조
|
||
120-125
|
다장조
|
||||
126-150
|
올림바단조
|
||||
제2부분
|
150-159
|
나장조
|
|||
160-168
|
가단조
|
||||
제3부분
|
168-183
|
||||
제4부분
|
182-213
|
다장조
|
|||
214-215
|
가단조
|
||||
재현부
|
제2주제
|
215-221
|
|||
222-229
|
마장조
|
||||
230-231
|
가단조
|
||||
경과구
|
232-234
|
||||
235-247
|
바단조
|
||||
제2주제의 확대
|
247-255
|
다장조
|
|||
연결구
|
256-276
|
||||
제1주제
|
276-281
|
다단조
|
|||
282-288
|
다장조
|
||||
코데타
|
299-304
|
라단조
|
|||
305-306
|
다장조
|
||||
코다
|
307-319
|
제1주제

제2주제
Ⅱ. Andante, C minor, 6/8 time Variation form
제2악장: 느리게, 다단조, 6/8 박자, 변주곡 형식
제2악장은 선율미가 뛰어난 서정적이며 감미롭고도 애잔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슈베르트의 가곡적 스타일을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선율로 유명하다.
주제 A
|
1-10
|
느리게
|
다단조
|
6/8
|
주제 A – 연결구
|
10-23
|
|||
부주제 B
|
23-31
|
가단조
|
||
부주제 B - 연결구
|
31-54
|
|||
주제 A'
|
54-67
|
다단조
|
||
주제 A' - 연결구
|
67-76
|
|||
부주제 B'
|
76-86
|
다장조
|
||
부주제 B' - 연결구
|
86-107
|
|||
주제 A''
|
107-113
|
다단조
|
||
코데타
|
224-120
|
|||
코다
|
120-123
|
Ⅲ. Menuet A-flat Major, 3/4 time, Ternary form
제3악장: 미뉴에트. 빠르게, 내림가장조, 3/4 박자, 3부 형식
유쾌하면서도 활기찬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미완성의 상태인 미뉴에트 부분이 80마디, 트리오 부분이 28마디의 초고가 전해졌으며,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인 바두라-스코다(Paul Badura-Skoda, 1927~2019)가 완성한 악보가 전해진다.
Ⅳ. Rondo, Allegro C Major, 3/4 time, Rondo form
제4악장: 론도. 빠르게, 다장조, 3/4 박자, 론도 형식
피날레로 의도된 론도 악장도 초고 미완성의 상태로 272마디의 초고가 전해졌으며 제4악장 역시 바두라-스코다가 총 556마디로 완성하여 전한다.
전악장 감상하기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음악전문 출판사 [예솔]에서 신간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저자 서경수|출간분야 음악|크기 152X225mm|...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