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no Sonata No. 9 in C Major, Op. 103 피아노 소나타 제9번 다장조, 작품번호 103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Piano Sonata No. 9 in C Major, Op. 103
피아노 소나타 제9번 다장조, 작품번호 103
1. 감상의 요점
2. 작곡가

프로코피예프(Prokofiev, Sergey Sergeyevich : 1891. 4. 23∼1953. 3. 5)는 러시아의 에카테리노슬라브지방에서 태어 났으며, 피아니스트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음악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9세때 오페라를 작곡하여 어린이들끼리 공연했을 정도로 일찍부터 천재성을 나타냈다. 그는 13세 때 페테르스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여, 20세때 최초로 자신의 작품 독주회를 열어 피아노 협주곡 제1번 을 연주했고, 1917년에 볼셰피키 혁명이 일어나자 미국으로 가서 작곡가 및 피아노 연주가로 활동하며 작품을 발표했으며, 그후 유럽으로 옮겨 프랑스 파리에 정착했다.
그는 1923년에 처음으로 조국 소련의 초청을 받았으나 병중인 어머니를 떠날 수 없어서 가지 못하고, 어머니가 떠난 후에 조국으로 가서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다. 그후 1933년에 소련으로 영구 귀국하였으며, 영화 음악 키제 중위 , 발레 음악 로미오와 줄리엣, 음악 동화 피터와 늑대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3. 악곡 해설
이 곡은 프로코피예프의 다른 소나타들에 비해 연주 빈도는 낮지만, 독창적이고 섬세한 매력을 지닌 이 곡은 마지막 피아노 소나타로 1947년에 작곡되었다. 이전 소나타들보다 외면적인 화려함보다는 더 단순하고 내면적인 표현을 추구하였는데 말년에 소련 체제하에서의 제한된 창작 환경과 그의 건강 악화가 이 작품의 배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2악장의 독특한 리듬적 구조와 제3악장의 깊이 있는 서정성이 돋보인다.
Ⅰ. Allegretto C Major, 3/2 time, Sonata form
제1악장: 조금 빠르게, 다장조, 3/2 박자, 소나타 형식
제1악장은 밝고 가벼운 분위기로 시작하며, 단순하지만 독특한 리듬과 선율이 특징이다.
제시부 | 제1주제 | 1-15 | 조금 빠르게 | 다장조 | 3/2 |
16-17 | 사장조 | 4/4 | |||
18-19 | 3/2 | ||||
연결구 | 20-40 | 다장조 | 4/4 | ||
제2주제 | 40-60 | ||||
소종결구 | 61-76 | 조금 덜 빠르게 | 사장조 | ||
발전부 | 제1부분 | 77-81 | 3/2 | ||
82 | 4/4 | ||||
83-91 | 3/2 | ||||
91-94 | 다장조 | ||||
제2부분 | 95-106 | 4/4 | |||
경과구 | 107-113 | ||||
114 | 2/4 | ||||
115-120 | 4/4 | ||||
121-123 | 3/2 | ||||
124-125 | 4/4 | ||||
126 | 3/2 | ||||
127-128 | 4/4 | ||||
129-132 | 3/2 | ||||
133 | 나장조 | 2/4 | |||
재현부 | 제1주제 | 133-138 | 다장조 |
3/2 | |
139-140 | 4/4 | ||||
141-143 | 3/2 | ||||
144-146 | 4/4 | ||||
연결구 | 147 | 3/2 | |||
148-156 | 4/4 | ||||
157 | 3/2 | ||||
158-160 | 4/4 | ||||
제2주제 | 161-187 | ||||
연결구 | 176- | ||||
종결부 | 188-193 | ||||
194-199 | 덜 빠르게 |
제1주제

제2주제

제1악장 감상하기
Ⅱ. Allegro strepitoso, D Major, 12/8 time, Ternary form
제2악장: 빠르고 요란하게, 라장조, 12/8 박자, 3부 형식
격렬한 악장으로, 복잡한 리듬과 강렬한 에너지가 돋보인다.
A | 1-23 | 빠르고 요란하게 | 라장조 | 12/8 |
24 | 6/8 | |||
25 | 12/8 | |||
45-50 | 조금 덜 빠르게 | 4/4 | ||
B | 51-67 | 조금 빠르게 | 나단조 | |
A' | 68-72 | 라장조 | 12/8 | |
73 | 6/8 | |||
74-89 | 12/8 | |||
90-94 | 4/4 | |||
95-105 | 12/8 | |||
106-108 | 느리게 |
A

B

제2악장 감상하기
Ⅲ. Andante tranquillo, A-flat Major, A–B–A′–B′–A″ form
제3악장: 느리고 고요하게, 내림가장조, 4/4 박자, 5부 형식
제3악장은 차분하고 서정적인 A 부분과 격렬한 B부분이 대조를 이루는 5부 형식으로 명확한 주제와 조성을 가진 신고전주의적인 곡이다.
A | 주제 | 1-8 | 느리고 고요하게 | 내림가장조 | 4/4 |
제1변주 | 9-14 | ||||
15 | 2/4 | ||||
16-17 | 4/4 | ||||
제2변주 | 18-26 | ||||
B | A주제의 발전 | 27-46 | 빠르고 부드럽게 | 다장조 | |
46 | 2/4 | ||||
연결구 | 47-52 | 느리고 고요하게, 처음처럼 | 4/4 | ||
53 | 3/2 | ||||
A' | 제3변주 | 54-63 | 내림가장조 | 4/4 | |
제4변주 | 64-72 | ||||
B' | B주제의 확대 | 73-74 | 빠르고 부드럽게 | ||
75-91 | 다장조 | ||||
연결구 | 92-97 | 느리고 고요하게, 처음처럼 | |||
A'' | 제5변주 | 98-102 | 내림가장조 | ||
102-104 | 다장조 | ||||
연결구(제4악장 주제 암시) | 105-106 | 내림가장조 | |||
107-116 | 빠르게 | ||||
117-120 | 느리고 고요하게 |
A

B

제3악장 감상하기
Ⅳ. Allegro con brio, C Major, 4/4 time, Rondo form
제4악장: 빠르고 생기있게, 다장조, 4/4 박자, 론도 형식
활기차고 열정적으로 마무리하는 피날레로, 유머러스한 요소와 독창적인 진행이 특징이다.
주제 A | 1-19 | 빠르고 생기있게, 그러나 너무 빠르지 않게 | 다장조 | 4/4 |
20 | 3/4 | |||
21-23 | 4/4 | |||
제1부주제 B | 24-30 | 조금 덜 빠르게 | 2/4 | |
31 | ||||
32-39 | 4/4 | |||
주제 A' | 39-49 | 본디 빠르기로 | ||
46-49 | 조금 덜 빠르게 | |||
제2부주제 C | 50-57 | 조금 느리게 | 내림마장조 | |
58 | 2/4 | |||
59-63 | 4/4 | |||
64 | 2/4 | |||
65-75 | 4/4 | |||
76-79 | 조금 빠르게 | |||
80-85 | 다장조 | |||
86 | 3/2 | |||
87 | 4/4 | |||
주제 A'' | 88-100 | 본디 빠르기로 | ||
97 | 2/4 | |||
98-99 | 4/4 | |||
100 | 3/4 | |||
제1부주제 B' | 101-109 | 조금 덜 빠르게 | 3/4 | |
110 | 2/4 | |||
111-127 | 4/4 | |||
종결부 | 128-146 | 3/2 |
주제 A

제1부주제 B

제2부주제 C

제4악장 감상하기
전악장 감상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