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독일 고전 시대 작곡가,
악성,
청각 장애를 극복하고 수많은 작품 작곡
대표곡: ‘운명 교향곡’, ‘합창 교향곡’, ‘월광 소나타’, ‘비창 소나타’, 오페라 ‘피델리오’ 등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의 초기 작품에는 모두 13곡이 있으며 4악장으로 구성된 곡 중의 하나이다.
1799년 봄에 작곡된 현악 4중주 제2번 등과 같이 작곡을 시작하여 이듬해 1800년에 완성되었으며, 베토벤 음악을 매우 좋아했던 아일랜드계 귀족인 요한 게오르크 브라운 백작(1767~1827)에게 헌정되었다.
I. Allegro con brio, B-Flat Major, 4/4 meter, Sonata form
제1악장: 빠르고 생기있게, 내림나장조, 4/4 박자, 소나타 형식
빠르고 생기있게,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의 3부분의 소낱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현부 뒤에 코다가 따로 없는 것이 특징이며, 재현부에는 제시부가 그대로 반복된다.
제시부 | 제1주제 | 1-11 | 빠르고 생기있게 | 내림나장조 | 4/4 | |
경과구 1 | 11-30 | 내림나장조-바장조 | ||||
제2주제 | 30-43 | 바장조 | ||||
경과구 2 | 44-56 | |||||
코데타 | 56-68 | |||||
발전부 | 제1부분 | 68-81 | 내림나장조-사단조 | |||
제2부분 | a | 81-91 | 사단조-다단조-바단조 | |||
b | 92-104 | 바단조-다단조-내림나장조 | ||||
c | 105-117 | 내림가장조-바단조 | ||||
제3부분 | 117-127 | 바단조-내림나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 | 127-138 | 내림나장조 | |||
경과구 1 | 138-152 | |||||
제2주제 | 153-161 | |||||
경과구 2 | 161-187 | |||||
코다 | 187-199 |
제시부
-제1주제
-경과구 1 https://youtu.be/BRDoU7BkpXo
-제2주제 https://youtu.be/TIO8S7w9pmc
-경과구 2 https://youtu.be/wzpI2xb9_EU
-코데타 https://youtu.be/Qv0xfSKtWtY
발전부
-제1부분 https://youtu.be/nC3ytV0Q3_c
-제2부분 https://youtu.be/gmLdMVoBRUk
-a https://youtu.be/rB-QBxnB6eE
-b https://youtu.be/G70bnOdJJlM
-c https://youtu.be/hQv5ofYIruc
-제3부분 https://youtu.be/OLc2fXfooOU
재현부
-제1주제 https://youtu.be/xy2dYXI_tGw
-경과구 1 https://youtu.be/ZOihZRkqT_I
-제2주제 https://youtu.be/yUuQrJy5A2c
-경과구 2 https://youtu.be/gTIO3SPuKAY
-코다 https://youtu.be/ZsKgSFd-OMA
제1악장 감상하기
II. Adagio con molto espressione, E-Flat Major, 9/8 meter, Sonata form
제2악장: 느리고 표현을 풍부하게, 내림마장조, 9/8 박자, 소나타 형식
제2악장은 축약된 소나타 형식으로서 형식과 구성이 뚜렷하고 내용도 충실하다.
제시부 | 제1주제 | 1-12 | 느리고 표현을 풍부하게 | 내림마장조 | 9/8 |
경과구 1 | 12-18 | 내림마장조-내림나장조 | |||
제2주제 | 18-27 | 내림나장조 | |||
코데타 | 27-30 | ||||
발전부 | 주제 | 31-45 | 다장조 | ||
경과구 | 45-47 | 내림마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 | 47-57 | |||
경과구 1 | 58-65 | ||||
제2주제 | 65-74 | ||||
코다 | 74-77 |
제시부
제1주제
-경과구 https://youtu.be/AvHqLaMr2dU
-제2주제 https://youtu.be/D-ZB788Tsj0
-코데타 https://youtu.be/VnjK43hyeho
발전부
-주제 https://youtu.be/SQjKbMTrgkM
-경과구 https://youtu.be/SEhTYduJiq8
재현부
-제1주제 https://youtu.be/76Ls3kAoM9A
-경과구 https://youtu.be/0SqAWLMUcao
-제2주제 https://youtu.be/uHyCfCfo3L8
-코다 https://youtu.be/pCLE6Ix7NPk
제2악장 감상하기
III. Menuetto, B-Flat Major, 3/4 meter, Ternary forms
제3악장: 미뉴에트. 내림나장조, 3/4 박자, 3부 형식
전통적인 미뉴에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3부분으로 구성되며 미뉴에트 A를 반복한다.
미뉴에트 A | a | 1-8 | 미뉴에트 | 내림나장조 | 3/4 |
b | 8-16 | 사단조 | |||
a' | 16-24 | 내림나장조 | |||
코데타 | 24-30 | 사단조 | |||
트리오 B | c | 30-38 | 미노레 | 다단조 | |
d | 38-46 | ||||
미뉴에트 A': 미뉴에트 A의 반복 |
미뉴에트 A
-a
-b https://youtu.be/rGqxLgSEH1U
-a' https://youtu.be/dzZmpPy3jm4
-코데타 https://youtu.be/4IaAvk4YkQ8
트리오 B
-c https://youtu.be/0zRfOtLEfRc
-d https://youtu.be/-iGFfhm1NX0
미뉴에트 A': 미뉴에트 A의 반복
제3악장 감상하기
Ⅳ. Rondo. Allegretto, B-Flat Major, 2/4 meter, Sonata form
제4악장: 론도. 조금 빠르게, 내림나장조, 2/4 박자, 소나타 형식
제4악장은 1개의 주제가 반복하여 나타 나는 점에서는 론도 형식으로 볼 수 있으나 C 부분이 확대되어 발전부로 볼 때 론도 소나타 형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제시부 | 제1주제 (A) | 1-17 | 조금 빠르게 | 내림나장조 | 2/4 |
경과구 1 (B) | 17-22 | 바장조 | |||
제2주제 | 22-40 | ||||
경과구 2 | 40-49 | 내림나장조 | |||
제1주제 (A) | 49-67 | ||||
발전부 (C) | 68-111 | 바장조-내림나장조 | |||
재현부 | 제1주제 (A) | 111-129 | 내림나장조 | ||
경과구 1 (B) | 129-135 | ||||
제2주제 | 135-152 | ||||
경과구 2 | 152-164 | ||||
제1주제 (A) | 165-182 | ||||
코다 | 183-199 |
제시부
-제1주제 (A)
-경과구 1 (B) https://youtu.be/8L1qg3W2kbA
-제2주제 https://youtu.be/v6vFBoBt0zU
-경과구 2 https://youtu.be/EXBvM2RYCb0
-제1주제 (A) https://youtu.be/lxdYqPwSOqU
발전부 (C)
재현부 https://youtu.be/DdLkEbFRlFY
-제1주제(A) https://youtu.be/CMikM7xAjeo
-경과구 1 (B) https://youtu.be/vN2G9p1Pzwg
-제2주제 https://youtu.be/3j4e1TjD2Rk
-경과구 2 https://youtu.be/bQi1MLfNoiQ
-제1주제' (A') https://youtu.be/Hwoa6KoLOjE
-코다 https://youtu.be/QCHBxXcG2zU
제4악장 감상하기
전악장 감상하기